나중소(羅仲昭) 선생은 16세에 무과에 급제, 대한제국 무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대한제국 진위대 부위로 재직 당시 1907년 9월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로 해산 당한 뒤,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선발되어 국비유학생으로 유학하였다. 이후 경술국치가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북로군정서) 등에 참여해 무장투쟁을 시작하게 된다.
1919년 3월, 나중소 선생은 북간도 왕청현에서 서일 등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대한정의단의 교관으로 초빙되어 수백 명의 무장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그 해 10월 대한정의단이 북로군정서로 개편된 후에는 참모부장으로 사령관 김좌진을 보좌하였다. 또한 북로군정서군의 사관연성소 교수부장을 겸임하며 300여 명의 독립군 사관을 기르는 힘썼고, 직접 일제와의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 특히 나중소 선생이 참가했던 청산리대첩은 독립군의 대승으로 유명하다.
이후 나중소 선생은 러시아 이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1921년 4월, 36개 독립군 단체들이 결성한 대한독립단 참모로 선임되었으나 6월에 일어난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다시 북만주로 돌아와 후임을 양성하기 위해 안도현 군인양성소에 들어가 국내진공작전을 추진했다. 1922년 8월에는 9개 독립군 단체들이 모인 대한독립단을 재건하고, 만주 독립군 단체를 모두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1924년 3월, 드디어 대한군정서가 재조직되자, 선생은 서무부장 겸 참모에 임명된다. 1925년 3월, 애국지사들을 규합한 신민부자 조직되자, 중앙집행위원회 참모부위원장을 맡았고, 9월에는 신민부와 정의부의 연합부대에서 간도의 간도의 훈춘, 장백 및 함경도 등을 관할하는 서남로향관(餉官)에 임명되는 등, 요직을 맡으며 무장항일투쟁의 훈련을 계속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나갔다.
하지만 1928년 8월, 신민부의 지방조직을 설치하던 나중소 선생은 돌연 돈화현 산중에서 숨을 거두고 만다. 정부는 독립군 양성과 청산리대첩에서 무장투쟁을 벌인 선생의 공적을 인정하여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Comments